티스토리 뷰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15번째주 주간회고 (WIL : The four FS 의 형식을 빌러 작성)
- 14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사실 나의 문제와 솔루션은 다 알고 있는 것이지만 이를 실천을 못하는 것이 아닐까? 반복적인 문제에 대해서 한번에 드라마틱한 개선의 실천이 어려우면 두 문제의 솔루션에 대해서 작게라도 실천해봐야겠다.
(1). 문제 해결에 앞서 문제점을 정확히 정의해보자
(2). 효율성 있는 공부를 할 수 있게 노력하자
효율적인 공부까지는 못 된것 같고 공부의 효율을 위해 시도는 해보았다. 집중력을 조금 더 높혀야겠다.
- 13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모르고 안되는 것이 있을때 포기하지 말고 문제의 원인을 생각하면서 지속적으로 찾아가면서 시도하면 할 수 있다.
-> 이번주에는 잘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온건히 스스로 다 해결을 하지 못했다. 다음에는 스스로 다 해결할 수 있도록 해보자
- 12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통해서 문제가 생겼을때 생각해보자
1. 코딩 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 프로세스
전제 : 의존하지 말고 최대한 스스로 해결하자
(1)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자. 이 문제가 내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에 대해서 정의. 해결이 가능한 문제인지 정의
(2) 문제 해결의 단서가 내가 아는 것에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3) 현재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스텝을 아주 상세하게 쪼갠다. 세분화할 수 있을 만큼 최대한 세분화 한다.
(4) 이 스텝을 탐정이 수사하듯 하나씩 추적하면서 문제점이 어디에 있는지 살펴나간다.
-> 최대한 적용하려고 노력함
- 11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공부해야할 것이 많으므로 효율성을 생각하면서 해야한다.
예를 들면 집중이 잘 될때는 집중력이 필요한 공부(코테)를 하고 조금 집중이 떨어졌을때는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하는 공부를 하는식으로 효율성을 높여봐야겠다.
△ 할것이 많아져서 효율성을 높여서 더 높은 성과를 내보려고 했는데 각개격파가 잘 안되고 할 것에 치여있는 상태이다
- 10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절대적인 양이 많은 것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겠지만 지치지말고 꾸준히 노력해야 된다.
->하지만 금요일 쯤에는 체력적으로 지쳐서 공부가 잘 되지 않았다. 지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효율적인 방법도 생각해야겠다.
- 9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배워야할 절대적인 양이 많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를 위해 현재 진행중인 종류(강의 수강, 팀프로젝트)에 따라 효율적인 방법으로 좋은 효과를 낼 수 있게 생각해보자
-> 효율적인 학습 방법은 생각하고 계속 시도하면서 발전시켜야겠다.
- 8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다음주에는 장고 심화 학습이 시작되는데 이번주에 느끼고 배운 것을 종합하면 생각을 체계적으로 해서 이해가 안되거나 할 때 끈기 있게 정리하면서 시도해봐야겠다.
- 이로부터 한주간 배운 것 (Fingdings)
1. 될 것 같은데 안될때 포기하지 말고 계속 바꿔가면서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TIL_20221017
2. 무언가 안될때 문제의 원인의 기본을 한번 생각해보자! TIL_20221018
3.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읽을때 그 구조를 먼저 생각하고 하는것이 좋다는 것을 배웠다. TIL_20221019
4. 차근차근 확인해가면서 생각을 정리해가며 코드를 짜야된다는 것을 배웠다. TIL_20221020
5. 모르는 것을 적당히 넘어가지 말고 기왕이면 알때까지 찾아보고 안되면 물어봐서 알고 넘어가자 TIL_20221021
-> 모르는 것을 처음 배울때는 배운것을 사용해볼때와 약간 다른 구조를 지닌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일단 모르는 것을 처음부터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하는 방식보다는 일단은 끝까지 한번은 빠르게 넘어간 후에 반복학습으로 실제로 사용을 하면서 배울때 위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이 들었다.
- 7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다음주에는 장고 심화 학습이 시작되는데 이번주에 느끼고 배운 것을 종합하면 생각을 체계적으로 해서 이해가 안되거나 할 때 끈기 있게 정리하면서 시도해봐야겠다.
- 6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다음주에는 강의를 수강하면서도 틈틈히 장고 복습을 하면서 인스타 클론 코딩으로 내가 생각해서 작게 구현해본다.
2. 거북목 방지를 위해 50분 앉아있으면 5~10분은 꼭 일어나고 스트레칭 하고 운동을 한다.
- 5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작은것부터 직접 만드는 노력을 하자
- 4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어떤 것을 할때 실행에 앞서서 보다 문제점을 정확히 정의해보는 자세를 갖자
ex) 마우스가 끊긴다 -> 컴퓨터가 문제있나? 램을 확인해보고 크롬 캐쉬를 지운다 X -> 마우스 건전지를 교체한다. O
2. 장고를 수강하는 가운데에도 파이썬 공부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등을 틈틈히 공부하며 장고의 코드도 이해해보자
- 3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급한 마음을 버리고 길게 보고 하나씩 배움을 쌓아가자
2. 롱런하기 위해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운동을 꾸준히 하자
3. 즐기는 마음을 가지고 길게 보자
- 2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시작부터 잘 할 수는 없으니 자괴감은 들겠지만 그래도 즐기면서 해보자
2. 나를 남과 비교하면서 다그치지말고 내가 배우는 것에 포커스를 하자
- 좋은 분위기에는 올라타지만 너무 주변에 포커스 하지 말고 내 수준에 맞게 노력의 강도를 올리자
(from 캠프 첫번째주 WIL)
X ->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손도 잘 풀지 못하는 문제를 척척 푸는 사람들을 보면 자괴감이 커졌다.
3. 시작점이 빠른사람도 나랑 같은 노력을 하니 나는 조금 더 노력해야겠다
- 1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개개인보다 더해져서 팀으로 있을 때 더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작은 것부터 노력해보자
2. 좋은 분위기에는 올라타지만 너무 주변에 포커스 하지 말고 내 수준에 맞게 노력의 강도를 올리자
3. 부족한 자율성이었지만 지치지말고 즐기면서 캠프의 좋은 커리큘럼을 잘 따라가보자
- 한주간 있었던 일 (Facts)
1. 팀프로젝트 진행 TIL_20221207 / TIL_20221208 / TIL_20221209
2. 팀프로젝트에 도입하고 싶었던 내용 스터디 TIL_20221205 / TIL_20221206 /
- 한주간 느낀 점 (Feelings)
1. 팀프로젝트에 테스트코드와 스와거를 도입해보고 싶었는데 테스트코드는 나도 공부가 부족하고 시간상 아직 못했다.
2. 눈에 확 띄는 것은 설득이 쉽다
- 이로부터 한주간 배운 것 (Fingdings)
1. 내가 원하는 것을 설득하는 일은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먼저다.
- 시사점 (Future)
1. 내 생각과 그에 따르는 주장에 앞서 상대방이 원하는 것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것이 설득을 잘할 수 있다.
'What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0221213_배포 정리 (0) | 2022.12.14 |
---|---|
TIL_20221212_프론트 반응형 (0) | 2022.12.13 |
TIL_20221209_자바스크립트 fetch (1) | 2022.12.12 |
TIL_20221208_Redirect URIs (0) | 2022.12.09 |
TIL_20221207_파이썬 eval 함수 (0) | 2022.12.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항해플러스후기
- 코드컨벤션
- dtl
- 파이썬 함수 return
- 스파르타코딩클럽
- github
- css
- 장고
- 함수
- GIT
- API
- 파이썬
- 파이썬나누기
- css선택자
- Til
- HTTP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HTML
- 항해플러스ai
- 예외처리
- 클래스
- wil
- 컴퓨터구조
- 자료구조
- 반복문
- 항해솔직후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