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열번째주 주간회고 (WIL : The four FS 의 형식을 빌러 작성)

 

 - 13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모르고 안되는 것이 있을때 포기하지 말고 문제의 원인을 생각하면서 지속적으로 찾아가면서 시도하면 할 수 있다.

 

-> 이번주에는 잘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온건히 스스로 다 해결을 하지 못했다. 다음에는 스스로 다 해결할 수 있도록 해보자

 

더보기

 - 12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통해서 문제가 생겼을때 생각해보자

 1. 코딩 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 프로세스

   전제 : 의존하지 말고 최대한 스스로 해결하자

   (1)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자. 이 문제가 내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에 대해서 정의. 해결이 가능한 문제인지 정의

   (2) 문제 해결의 단서가 내가 아는 것에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3) 현재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스텝을 아주 상세하게 쪼갠다. 세분화할 수 있을 만큼 최대한 세분화 한다.

   (4) 이 스텝을 탐정이 수사하듯 하나씩 추적하면서 문제점이 어디에 있는지 살펴나간다.

-> 최대한 적용하려고 노력함

 

 - 11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공부해야할 것이 많으므로 효율성을 생각하면서 해야한다.

예를 들면 집중이 잘 될때는 집중력이 필요한 공부(코테)를 하고 조금 집중이 떨어졌을때는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하는 공부를 하는식으로 효율성을 높여봐야겠다.

△ 할것이 많아져서 효율성을 높여서 더 높은 성과를 내보려고 했는데 각개격파가 잘 안되고 할 것에 치여있는 상태이다

 

 

- 10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절대적인 양이 많은 것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겠지만 지치지말고 꾸준히 노력해야 된다.

->하지만  금요일 쯤에는 체력적으로 지쳐서 공부가 잘 되지 않았다. 지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효율적인 방법도 생각해야겠다.

 

 

- 9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배워야할 절대적인 양이 많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를 위해 현재 진행중인 종류(강의 수강, 팀프로젝트)에 따라 효율적인 방법으로 좋은 효과를 낼 수 있게 생각해보자

-> 효율적인 학습 방법은 생각하고 계속 시도하면서 발전시켜야겠다.

 

 

- 8주차의 시사점 (Was Future)

 1. 다음주에는 장고 심화 학습이 시작되는데 이번주에 느끼고 배운 것을 종합하면 생각을 체계적으로 해서 이해가 안되거나 할 때 끈기 있게 정리하면서 시도해봐야겠다.

 

- 이로부터 한주간 배운 것 (Fingdings)

 1. 될 것 같은데 안될때 포기하지 말고 계속 바꿔가면서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TIL_20221017

 2. 무언가 안될때 문제의 원인의 기본을 한번 생각해보자! TIL_20221018

 3.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읽을때 그 구조를 먼저 생각하고 하는것이 좋다는 것을 배웠다. TIL_20221019

 4. 차근차근 확인해가면서 생각을 정리해가며 코드를 짜야된다는 것을 배웠다. TIL_20221020

 5. 모르는 것을 적당히 넘어가지 말고 기왕이면 알때까지 찾아보고 안되면 물어봐서 알고 넘어가자 TIL_20221021

 

-> 모르는 것을 처음 배울때는 배운것을 사용해볼때와 약간 다른 구조를 지닌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일단 모르는 것을 처음부터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하는 방식보다는 일단은 끝까지 한번은 빠르게 넘어간 후에 반복학습으로 실제로 사용을 하면서 배울때 위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이 들었다.

 

 

- 7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다음주에는 장고 심화 학습이 시작되는데 이번주에 느끼고 배운 것을 종합하면 생각을 체계적으로 해서 이해가 안되거나 할 때 끈기 있게 정리하면서 시도해봐야겠다.

 

 

- 6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다음주에는 강의를 수강하면서도 틈틈히 장고 복습을 하면서 인스타 클론 코딩으로 내가 생각해서 작게 구현해본다.

 2. 거북목 방지를 위해 50분 앉아있으면 5~10분은 꼭 일어나고 스트레칭 하고 운동을 한다.

 

 

- 5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작은것부터 직접 만드는 노력을 하자

 

 

- 4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어떤 것을 할때 실행에 앞서서 보다 문제점을 정확히 정의해보는 자세를 갖자

 ex) 마우스가 끊긴다 -> 컴퓨터가 문제있나? 램을 확인해보고 크롬 캐쉬를 지운다 X -> 마우스 건전지를 교체한다. O

 2. 장고를 수강하는 가운데에도 파이썬 공부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등을 틈틈히 공부하며 장고의 코드도 이해해보자

 

 

- 3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급한 마음을 버리고 길게 보고 하나씩 배움을 쌓아가자

 2. 롱런하기 위해 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운동을 꾸준히 하자

 3. 즐기는 마음을 가지고 길게 보자

 

 

- 2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시작부터 잘 할 수는 없으니 자괴감은 들겠지만 그래도 즐기면서 해보자

 2. 나를 남과 비교하면서 다그치지말고 내가 배우는 것에 포커스를 하자

  - 좋은 분위기에는 올라타지만 너무 주변에 포커스 하지 말고 내 수준에 맞게 노력의 강도를 올리자 

     (from 캠프 첫번째주 WIL)

   X ->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손도 잘 풀지 못하는 문제를 척척 푸는 사람들을 보면 자괴감이 커졌다.

3. 시작점이 빠른사람도 나랑 같은 노력을 하니 나는 조금 더 노력해야겠다

 

 

- 1주차의 시사점 복기 (Was Future) 

 1. 개개인보다 더해져서 팀으로 있을 때 더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작은 것부터 노력해보자

 2. 좋은 분위기에는 올라타지만 너무 주변에 포커스 하지 말고 내 수준에 맞게 노력의 강도를 올리자

 3. 부족한 자율성이었지만 지치지말고 즐기면서 캠프의 좋은 커리큘럼을 잘 따라가보자

 


- 한주간 있었던 일 (Facts)

 1. 팀프로젝트 종료

 2. 도커 및 프론트 배포 TIL_20221128 / TIL_20221129 / TIL_20221201 / TIL_20221202  

 2. 팀프로젝트 시작 TIL_20221130 

 

 

 - 한주간 느낀 점 (Feelings)

 1. 팀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바로 캠프의 마지막 프로젝트가 시작되니 타이트한 느낌이다.

 2. 배포는 공부해야할 것이 많다.

 3. 데이터 구조 및 알고리즘과 코테도 공부해야 하는데 아직 이해가 빠르게 되진 않는다.

 4. 종합하면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같은 기본 지식과 이를 응용한 코테도 풀 수 있도록 공부하면서 기왕이면 기본 CS 지식도 틈틈이 공부하면서 프로젝트를 위한 구현도 해야하고 여기에서 장고도 잘 쓸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하면서 구현하고 구현하다보니 DB를 잘 사용할 수 있도록 ORM 과 DB 쪽도 어느정도는 공부해야하고 실제로 사용할수 있게 배포도 하려고 하면 도커, 웹서버, 로드밸런서등의 아키텍처도 공부하고 알아야 하니 공부할 게 많다고 느꼈다. 그리고 저런 분야들이 분산되는게 아니고 각기 연결되어 있어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프로의 세계란 쉽지 않지

 5. 공부할게 많은데 집중력이 떨어지고 자꾸 딴짓을 하고 이러는게 문제인 것 같다.

 

 

 - 이로부터 한주간 배운 것 (Fingdings)

 1. 문제 해결에 앞서 문제점을 정확히 정의해보자

    - WIL_220919to220923_내일배움캠프4주차 에서 쓴 내용

어떤 것을 할때 실행에 앞서서 보다 문제점을 정확히 정의해보는 자세를 갖자
 ex) 마우스가 끊긴다 -> 컴퓨터가 문제있나? 램을 확인해보고 크롬 캐쉬를 지운다 X -> 마우스 건전지를 교체한다. O

 

 2. 효율성 있는 공부를 할 수 있게 노력하자

  - WIL_221107to221111_내일배움캠프11주차 에서 쓴 내용

 1. 공부해야할 것이 많으므로 효율성을 생각하면서 해야한다.

예를 들면 집중이 잘 될때는 집중력이 필요한 공부(코테)를 하고 조금 집중이 떨어졌을때는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하는 공부를 하는식으로 효율성을 높여봐야겠다.

△ 할것이 많아져서 효율성을 높여서 더 높은 성과를 내보려고 했는데 각개격파가 잘 안되고 할 것에 치여있는 상태이다

 

 - 시사점 (Future)

1. 사실 나의 문제와 솔루션은 다 알고 있는 것이지만 이를 실천을 못하는 것이 아닐까? 반복적인 문제에 대해서 한번에 드라마틱한 개선의 실천이 어려우면 두 문제의 솔루션에 대해서 작게라도 실천해봐야겠다.

  (1).  문제 해결에 앞서 문제점을 정확히 정의해보자

  (2). 효율성 있는 공부를 할 수 있게 노력하자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