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는 컴퓨터를 사용해 모든 종료의 데이터를 만들고, 프로세스하고, 저장하고, 다시 살리고 교환하는 것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the use of computers to create, process, store, retrieve, and exchange all kinds of data and information.

출처 : Wikipedia - Information technology

 

인터넷, 웹 에서 나오는 기술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고 이 데이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여기에서 기술의 발전으로 웹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자료구조,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없이 웹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이용만 하다보면 프레임워크 안에 들어있는 원리, 철학등을 이해하지 못하면 어느순간에는 한계에 다다를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워크는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계속 변화하고 어떤 프레임워크는 사장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원리를 공부하고 이해하고 이를 응용해야 한다.

 

내 생각에는 일단 쉽게 배우면서 그 원리를 찾아들어가는 공부가 나한테 맞는것 같다. 처음부터 원리를 바로 이해하려고 하면 그 원리가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흥미를 잃기도 하는 이유이기 떄문이다. 그리고 반복해서 여러 형태의 자료를 살펴보고 사용하다보면 어느순간 자연스럽게 이해가 될때가 생기는 부분이 있다.

 

읽어본 자료:

Jayce Park - 프레임워크 공부를 멈춰라 번역

Eduards Sizovs - STOP LEARNING FRAMEWORKS

 

 

배열 (Array)

같은 타입의 변수들을 일렬로 정렬해놓은 자료구조(Data Structure)

배열에서 자료 하나를 찾기 위해서는 O(n) 의 시간복잡도를 갖게 된다.

그래서 Tree 자료 구조가 나옴

 

트리 (Tree)

트리에서 자료 하나를 찾기 위해서는 O(log n) 의 시간복잡도를 갖게 된다.

 

저장된 자료의 양에 상관없이 자료 하나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것을 상수시간에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해시테이블이 나옴

 

Hash

Hash 는 다양한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로 맵핑 하는 값

 

Hash Function

Hash 는 다양한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를 가진 데이터로 맵핑 하는 함수

 

Hash Table 

Hash Function을 사용해 Key : Value 의 형태로 Value 값을 갖는 자료 구조 테이블

 

SHA

Secure Hash Algorithm

 

 

해시에 대해서 약간 오해했던 것은 해시의 알고리즘 중 하나인 SHA-256 을 해시 펑션으로 잘못이해해서 해시알고리즘 중 하나를 해시 펑션을 지칭하는 것으로 생각했었다.

 

TIL_20221101

 

 

 

참조 :

Computer_Science - 1-1. 배열 연산(추가, 삭제, 검색)과 시간복잡도: 정렬되지 않은 배열(Unsorted Array)의 경우

초보몽키의 개발공부로그 - 배열(Array)과 리스트(List)

do Developer - 배열의 시간 복잡도

Ha-Young 자료구조 Tree에 대해 알아보자 - 1-트리,이진탐색트리

우아한Tech - [10분 테코톡] 👩‍🏫코니의 #️⃣Hash Function

 


TIL_20220921

더보기

컴퓨터는 논리 연산, 저장을 수행한다.

 

- 자료(Data)의 연산

- 자료(Data)의 저장

 

자료구조는 자료(Data)를 저장하는 방법이고 알고리즘은 자료(Data)를 연산하기 위한 방법이다.

 

컴퓨터의 성능 향상에 따라 컴퓨팅 파워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유한한 자원이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한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추상적 자료형 (Abstract Data Type : ADT)

컴퓨터 과학에서 추상적 자료형은 자료형(Data type)에 대한 수학적 모델이다. 자료(Data)의 형태와 연산들을 정의한 것

 

 

추상적 자료형은 이러한 자료(Data)를 다룰 때 유한한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으로

자료구조는 추상 자료형이 정의한 연산들을 구현한 방법이다.

 

자료(Data)에 따라 효율적인 방법이 다를 수 있어 상황에 맞는 자료구조를 선택하고 알고리즘을 구현해야 효율적으로 컴퓨터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오늘 한 일

1. DRF 팀프로젝트 구현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