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hat I Learned

TIL_20220920_컴퓨터 구조

오베르 2022. 9. 20. 19:50

컴퓨터 (Computer)

- 이진법을 이용하여 논리 연산, 저장을 수행하는 전자 기계

- 컴퓨터는 트랜지스터(전기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모아 논리회로를 만들고 연산에 기반하여 작동하는 기계장치

 

슈퍼 컴퓨터 (Super Computer)

- 구동 시기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능력을 보유한 컴퓨터

 

양자 컴퓨터 (Quantum Computer)

- 얽힘(entanglement)이나 중첩(superposition) 같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을 활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계산 기계

 

트랜지스터 (Transistor : Transfer + Resistor)

- 저마늄, 규소 따위의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자 신호 및 전력을 증폭하거나 스위칭하는 데 사용되는 반도체소자

 

반도체 (Semiconductor)

- 트랜지스터를 집적(모아서 쌓음)한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논리회로 (Logic gate)

- 불 대수(Boolean algebra)를 이용하여 1개 이상의 논리 입력을 일정한 논리 연산에 의해 1개의 논리 출력을 얻는 회로

- AND, OR, NOT의 기본 불 대수를 수행하며, 이 기본 불 대수들의 결합으로 복합적인 논리 기능을 수행

 

불 대수 (Boolean algebra)

- 논리적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논리합과 논리곱 및 부정의 연산이 정의된 대수 구조

- 논리연산 (Logical operation, Logical connective) 이라 불리기도 한다

- 수리논리학이나 컴퓨터공학과에서, 두 개의 상태인 참(1, T, True)과 거짓(0, F, False)으로 불 연산(Boolean expression)이라 한다

 

불리언 자료형 (Boolean data type)

- 논리 자료형,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참은 1 , 거짓은 0 으로 숫자를 쓰지 않고 영어로 True, False로 쓰기도함

 

 

 

컴퓨터 구조

 

출처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메모리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프로세스)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 메모리에는 주소라는 개념이 있어서 내가 원하는 명령어 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는지 알 수 있다

-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

출처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메모리 구조

 

예전에는 주소를 메모리에 하나 하나 할당해줬어야 했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를 변수를 지정해야 호출할 수 있다

 

 

변수를 지정하고 주소 값을 불러보아 확인

input = "abcba"

print(hex(id(input)))

 

변수의 이름은 별칭으로 볼 수 있고 변수 값은 각 메모리에 저장이 되어 있고 이를 호출하는 것이다

메모리의 주소는 메모리의 상황에 따라 변경된다.

자료형(Data type) 에 따른 사이즈

 

자료구조에 따른 각기 변수의 주소

 

 

참고 :

나무위키 - 컴퓨터

나무위키 - 논리연산

나무위키 - 반도체

위키백과 - 트랜지스터

코딩의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 [컴퓨터 공학 기초 강의] 2강.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CPU, MEMORY, HDD 그리고 헤르츠 이야기 | 개발자가 이해하면 좋을 컴퓨터의 구조와 원리

비전공자분들 위한 컴퓨터 전공 수업 10분으로 압축 (컴퓨터 구조 + 운영 체제)

Computer Architecture - 컴퓨터 구조 (파이썬 코딩 전 필수)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