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git 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CLI 인 Git bash 를 이용한 방법과 UI 인 Sourcetree 를 이용한 방법 을 이용해 git 을 사용했습니다.
Sourcetree 를 활용하여 commit 후 Github 에 push 한 TIL
Git
- Git은 버전관리를 위한 협업 관리 툴
Github
- Github 는 git 이라는 프로그램을 플랫폼화 한 커뮤니티 기능이 결합된 웹 서비스
Git 은 local 환경과 remote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local에서 작업 후 staging 에 commit 하고 이를 원격 저장소에 push 합니다.
원격저장소로부터 local로 가져오는 방식은 pull 과 fetch 가 있습니다.
pull 은 단어 그대로 땡겨와서 내 브랜치에 머지하는 것이고 fetch는 내 local 에 임시 저장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 (Pull Request)
- git 에서 협업 후 원만한 merge 를 위해 각각의 코드 작성자가 repository에 request
- PR 이라고 항상 들었었는데 Pull 과 Push 의 개념을 알고 나서 생각해보니
Repository 의 소유자 입장에서 Pull 이구나 그래서 Pull Request 라고 썼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Master, Main
- Gitbash 나 Sourcetree 에서는 Master 브랜치를 Main 브랜치 이름을 수정 필요
- 이슈에 대해서 기사로만 접했었는데 실질적으로 사용하면서 접하니 community 에 속해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참조 블로그:
Work Hard, Study Hard! - [Github] Default 브랜치명 변경 (master -> main)
Gyun's 개발일지 - [Git] pull과 fetch의 차이는 무엇일까?
초보몽키의 개발공부로그 - git 초보를 위한 풀리퀘스트(pull request) 방법
'What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0220913_파이썬 코드 컨벤션, 아스키코드, SSH (0) | 2022.09.13 |
---|---|
WIL_220905to220908_내일배움캠프2주차 (2) | 2022.09.09 |
TIL_20220907_파이썬 함수 (0) | 2022.09.07 |
TIL_20220906_파이썬 반복문 (0) | 2022.09.06 |
TIL_20220905_컴파일, 인터프리터 (0) | 2022.09.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dtl
- 장고
- 항해플러스ai
- Til
- 파이썬
- GIT
- 파이썬나누기
- 항해솔직후기
- 컴퓨터구조
- css선택자
- 코드컨벤션
- wil
- API
- 예외처리
- 클래스
- 스파르타코딩클럽
- HTTP
- github
- HTML
- 파이썬 함수 return
- 자료구조
- css
- 항해플러스후기
- 함수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반복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