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hat I Learned

TIL_20220908_git 개요

오베르 2022. 9. 8. 23:17

오늘은 git 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CLI 인 Git bash 를 이용한 방법과 UI 인 Sourcetree 를 이용한 방법 을 이용해 git 을 사용했습니다.

Sourcetree 를 활용하여 commit 후 Github 에 push 한 TIL

 

Git

- Git은 버전관리를 위한 협업 관리 툴

 

Github

- Github 는 git 이라는 프로그램을 플랫폼화 한 커뮤니티 기능이 결합된 웹 서비스

 

Git 은 local 환경과 remote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local에서 작업 후 staging 에 commit 하고 이를 원격 저장소에 push 합니다. 

 

원격저장소로부터 local로 가져오는 방식은 pull 과 fetch 가 있습니다.

 

pull 은 단어 그대로 땡겨와서 내 브랜치에 머지하는 것이고 fetch는 내 local 에 임시 저장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 (Pull Request)

- git 에서 협업 후 원만한 merge 를 위해 각각의 코드 작성자가 repository에 request

- PR 이라고 항상 들었었는데 Pull 과 Push 의 개념을 알고 나서 생각해보니

Repository 의 소유자 입장에서 Pull 이구나 그래서 Pull Request 라고 썼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Master, Main

- Gitbash 나 Sourcetree 에서는 Master 브랜치를 Main 브랜치 이름을 수정 필요

- 이슈에 대해서 기사로만 접했었는데 실질적으로 사용하면서 접하니 community 에 속해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참조 블로그: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 있는 Git 입문

Work Hard, Study Hard! - [Github] Default 브랜치명 변경 (master -> main)

Gyun's 개발일지 - [Git] pull과 fetch의 차이는 무엇일까?

초보몽키의 개발공부로그 - git 초보를 위한 풀리퀘스트(pull request) 방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